• 센터소개
    • 인사말
    • 연혁
    • 비전과 미션
    • 운영사업
    • 조직도
    • 임직원행동강령
    • 오시는 길
  • 자원봉사
    • 자원봉사 안내
    • 센터 교육체계도
    • 찾아가는 자원봉사 교육
    • 온라인영상교육
    • 자원봉사 혜택
    • 할인가맹점
    • 자원봉사 거점센터
    • 자원봉사수요처지도
  • 활동공유
    • 봉사스토리
    • 홍보합니다
    • 이그나이트 대회
    • 아카이브
  • 정보센터
    • 언론자료
    • 서식/참고자료실
    • 자원봉사교육 자료실
  • 소통의 장
    • 공지사항
    • FAQ
    • 문의게시판
  • 덕양분소
    • 분소안내
    • 분소소식
    • 대관신청
  • 센터소개
    • 인사말
    • 연혁
    • 비전과 미션
    • 운영사업
    • 조직도
    • 임직원행동강령
    • 오시는 길
  • 자원봉사
    • 자원봉사 안내
    • 센터 교육체계도
    • 찾아가는 자원봉사 교육
    • 온라인영상교육
    • 자원봉사 혜택
    • 할인가맹점
    • 자원봉사 거점센터
    • 자원봉사수요처지도
  • 활동공유
    • 봉사스토리
    • 홍보합니다
    • 이그나이트 대회
    • 아카이브
  • 정보센터
    • 언론자료
    • 서식/참고자료실
    • 자원봉사교육 자료실
  • 소통의 장
    • 공지사항
    • FAQ
    • 문의게시판
  • 덕양분소
    • 분소안내
    • 분소소식
    • 대관신청

정보센터

언론자료

정보센터
  • 센터소개
  • 자원봉사
  • 활동공유
  • 정보센터
  • 소통의 장
  • 덕양분소
언론자료
  • 언론자료
  • 서식/참고자료실
  • 자원봉사교육 자료실
언론보도
  • 언론보도
  • MOU현황
  • 2021 경기 사랑애(愛) 집고치기 사업 진행
       「2021 경기도자원봉사센터 지원」2021 경기 사랑애(愛) 집고치기 사업 진행 ​고양시자원봉사센터는 경기도자원봉사센터 지원으로 「2021 경기 사랑애(愛) 집고치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13일(수)에는 성사동의 한 가정에 LED 조명기기 교체를 지원해드렸다. 이날은 고양시사회적기업봉사회(회장 박찬도)에서 고양시에서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7명의 대표님들이 자원봉사자로 참여해주셨다.   코로나19로 집에서 머무르는 시간에 많아진 요즘, 주거환경개선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사랑애(愛) 집고치기 사업이 주변의 어려운 이웃에게 따뜻한 위로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사업은 11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도배, 장판, 수도, 전기공사, 누수미장, 외관문, 화장실(변기, 타일, 환풍기 교체)가 가능하다.(※샷시, 창호, 보일러, 싱크대, 에어컨 불가능)   우리 주변에 집고치기 서비스가 필요한 어려운 이웃들을 센터로 추천 바라며 시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문의)고양시자원봉사센터 전략사업팀 031-925-9805, 9802~9803       시민일보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1756855316 
  • 고양시자원봉사센터, “불법촬영카메라 꼼짝마!”
    고양시자원봉사센터, “불법촬영카메라 꼼짝마!”- 공원 공중화장실 불법촬영 기기 탐지 봉사활동 시범 운영 -  사진 1. 점검 후 안내스티커 부착 장면   최근 불법촬영 기기를 이용한 불특정 다수 대상 범죄가 증가하고, 사회적으로도 큰 이슈가 되고있다. 고양시자원봉사센터(이하 센터)는 시민과 함께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을 만들기 위해 일산동부경찰서와 일산동구 관내 6개동 49개소 공원 공중화장실 불법촬영 기기 탐지 봉사활동(이하 봉사활동)을 시범 운영하였다.   이번 봉사활동은 지난 28일부터 경기행복마을관리소, 각 동 어머니자율방범대원을 포함한 자원봉사자 38명이 참여 한 가운데 정발산동 공원 공중화장실 일대를 시작으로 일산동구 6개동(정발산동, 마두동, 풍산동, 백석동, 중산동, 장항동) 49개소 공원 공중화장실의 정체불명의 흠집 구멍 등을 점검하고, 전파•적외선 렌즈 탐지기를 활용하여 의심 흔적 및 구역을 탐색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활동에 참여한 한 자원봉사자는 “모두가 사용하는 공중화장실을 위해 봉사활동을 할 수 있어서 뿌듯했고, 뉴스에서나 보던 탐지기를 직접 써봐서 좋았다”고 말하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오래 지속 되면서 봉사활동의 기회가 많이 없었는데 신선하고 재미있었다” 는 소감을 밝혔다.   고양시자원봉사센터는 앞으로도 시민들과 함께 다양한 사회문제를 자원봉사로 해결하고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 할 예정이다.  사진 2. 렌즈탐지기를 이용한 점검 장면 수도권일보 http://www.sudokwon.com/article.php?aid=1634887383501878013시민일보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   
    # #
  • 코로나19 중에도 비대면 만남으로 소통을 이어 간다
    고양시자원봉사센터는 지난 10월 15일 고양시 자원봉사 단체와 수요처 관리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1차 설문 조사와 2차 온라인 간담회로 나눠 진행됐으며, 1차와 2차 간담회에는 370여 곳의 단체와 수요처 관리자가 참여하여 지원이 필요한 사항들을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지난 9월 15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된 단체 및 수요처 관리자 대상 1차 설문 조사는 온라인 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수요처 245곳, 단체 125곳 385명(중복 참여)의 관리자가 참여하여 자원봉사 관리 전반에 관한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설문 문항 중 센터에게 바라는 지원사항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들은‘자원봉사 네트워크 확대’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비대면 자원봉사활동 확대’, ‘센터의 봉사단체 지원 확대’ 등의 의견이 뒤를 이었다.   한편 지난 10월 15일에는 1차 설문결과의 공유와 관리자들의 직접적인 의견 수렴을 위해 2차 온라인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30명의 관리자가 참석하여 수요처와 단체의 자원봉사 네트워크 활성화에 대한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또한 센터는 지난 3월부터 현재까지 코로나19 확산의 방지와 수요처의 활동 지원을 위하여 수요처 관리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현재까지 428명이 이수하였다.   센터는 이번 설문 조사와 비대면 간담회를 통해 취합된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내년도 자원봉사 활성화 사업에 반영하는 한편 자원봉사 단체와 수요처와 간의 소통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문의) 활동지원팀(031-906-1365) 시민일보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1137759808 
  • 고양시자원봉사센터, ‘2021 자원봉사 이그나이트 in 고양’ 개최
      고양시자원봉사센터는 오는 30일 「2021 자원봉사 이그나이트 in 고양」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자원봉사 이그나이트 in 고양’은 자원봉사자의 목소리로 자원봉사의 감동과 열정을 이야기하고, 고양시의 다양한 자원봉사 우수사례를 함께 공유하는 자원봉사 우수사례 발표대회이다. 본 대회는 10월 30일(토) 오후 2시,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송출될 예정이다.   올해는 총 10팀의 자원봉사자가 직접 자신의 자원봉사 이야기를 주제로 발표자가 되어 5분 동안 마음을 울리는 자원봉사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10팀의 발표자들은 사전 접수된 사례 중 서면심사를 통해 선정됐으며 네 달 동안 스토리텔링, 프레젠테이션, 스피치 교육을 받으며 대회를 준비했다.   발표 사례는 청소년 부문 5개팀, 성인부문 5개팀으로 구성되어 다양하고 감동적인 이야기로 구성됐다.   대회 당일 사전에 모집된 300여명의 온라인 청중평가단이 발표 종료 후 온라인 투표를 통해 가장 감동적인 사례에 투표하게 되며 이들의 투표점수와 전문심사위원의 점수를 합산한 결과에 따라 고양시장상, 고양시의회의장상, 경기도고양교육지원청장상, 고양시자원봉사센터이사장상을 시상한다.   자세한 내용은 고양시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10월 30일(토) 당일 오후 2시에 고양시자원봉사센터 유튜브로 접속하면 시청이 가능하다.   참고자료) 2021 자원봉사 이그나이트 in 고양   고양신문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65544​수도권일보 http://www.sudokwon.com/article.php?aid=1634727399501612004서울뉴스통신 http://www.sna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543037시민일보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6918884726쿠키뉴스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110200103​ 온나라타임즈 http://www.onaratimes.kr/h/contentxxx.html?idx=219295&hmidx=9   
    # #
  • 일산3동 행정복지센터 내 자원봉사 거점센터 개소 “자원봉사가 궁금하면 일산3동 자원봉사 놀이터에서 만나요”
      고양시자원봉사센터(이하 센터)는 지난 18일 김석재 동장과 윤기남 주민자치회장, 주민자치회 위원 및 자원봉사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거점센터 현판식을 가졌다.   센터는 고양시 관내 거점센터를 중심으로 자원봉사 놀이터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11번째 거점센터가 된 일산3동은 지난 7월부터 동 행정복지센터 2층 북카페 한쪽에 자리를 잡고 매주 월요일 주민들과 만나고 있다.   지역 사정을 잘 알고 있는 매니저(자원봉사자)들이 자원봉사 상담과 활동 연계, 인센티브 지원 등 주민 맞춤형 자원봉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원봉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마을의 자원봉사 플랫폼 역할을 수행 중이다.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지속되는 가운데 장바구니 만들기, 광목 주머니 만들기 등 일회용품 줄이기 실천 비대면 핸즈온 프로그램 운영으로 찾아오는 주민들이 수가 늘어가고 있다.     윤기남 주민자치회장은 “자원봉사가 하고 싶은데 어디서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모르는 주민분들, 일산3동 거점센터로 언제든 찾아오세요!”라며“소통으로 하나된 일산3동이니만큼 주민들의 자원봉사 욕구를 적극 반영하여 즐거운 자원봉사 놀이터가 되는 거점센터를 운영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고양시자원봉사센터는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참여·봉사, 나눔의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자원봉사 참여활동이 증진되고 지역통합에 기여 하는 자원봉사 거점센터가 되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문의) 고양시자원봉사센터 031-905-1365, 031-969-8401 아시아타임즈 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11019500045인천일보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6651기호일보 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0171시민일보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6561374063수도권일보 http://www.sudokwon.com/article.php?aid=1634636325501425011아시아일보 https://www.asiailbo.co.kr/etnews/?fn=v&no=412117&cid=21050300쿠키뉴스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110190117​고양신문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65558  
    # #
  • 고양시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 비대면 핸즈온 프로그램 “나부터 시작하는 아름다운 변화”
                                                                                        사진 1. 일산동구청 거점센터 내 자원봉사 키트 수령장면 ​ 고양시자원봉사센터(이하 센터)는 관내 9개 거점센터와 덕양분소를 중심으로『나부터 시작하는 아름다운 변화, 일회용품 줄이기 비대면 핸즈온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프로그램은 기후·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작은 실천들로 비닐봉투나 물티슈 등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장바구니·광목 주머니 만들기, 다회용 천 손수건 만들기, 폐신문지를 활용한 봉투 만들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활동을 원하는 자원봉사자들은 전화(031-969-8406)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신청하고 예약한 일자에 가까운 거점센터나 분소를 방문하여 프로그램 키트를 수령하면 된다.   장바구니와 광목 주머니 등 1,000여개의 완성품은 11월경 일회용품 줄이기 캠페인을 통해 생활협동조합 및 지역주민들과 나누고, 스마트폰·텀블러 가방은 몸이 불편한 어르신 지원 및 쓰레기 줍깅 등 자원봉사 현장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이후 실제 활용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일정 기간 후 수혜자를 대상으로 활용도 조사를 진행한다.       센터는 위드 코로나를 앞두고 많은 봉사활동이 위축된 상황에서 비대면 활동을 선호하는 자원봉사자들이 증가하는 현 추세에 맞추어 일상에서 쉽게 자원봉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비대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전개해나갈 계획이다.    문의) 고양시자원봉사센터 031-905-1365, 031-969-8401 수도권일보 http://www.sudokwon.com/article.php?aid=1632898486498685013 
    # #
  • 고양시자원봉사센터, ‘탄소중립도시 고양시’를 위한 『2021 기후변화와 자원봉사 포럼』온라인 개최 성료
    고양시자원봉사센터(센터장 허신용)는 지난 9월 4일(토) 자원봉사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시민들의 실천을 촉구하기 위한「2021 기후변화와 자원봉사 포럼」(이하 포럼)을 온라인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시민실천’을 주제로 미래세대인 청소년·청년 기획단이 주도하고, 범시민이 참여하여 기후변화 대응 자원봉사를 논의하는 자리로 기획됐다. 1부 유튜브 공개포럼, 2부 시민참여 Zoom 소그룹 토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방역수칙 준수를 위해 사전녹화 및 전면 비대면 행사로 전환하여 진행했다.   이재준 고양시장의 축사와 허신용 고양시자원봉사센터장의 인사말로 시작한 포럼은 전문가 기조연설로 포문을 열었다. ‘기후위기 시대의 시민참여’를 주제로 안병옥 호서대 벤처대학원 융합공학과 교수가 기조연설을 진행하였으며, ‘기후위기시대,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민성환 생태보전시민모임 대표의 기조연설이 이어졌다.   청소년·청년 포럼 기획단 4인의 발제는 ▲플라스틱 음료 용기 통일화 촉구 및 시민실천 방안 ▲해양 쓰레기 문제 심각성 및 시민실천 방안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전환과 시민실천 방안 ▲가정용 폐의약품 분리배출 및 처리과정 개선방안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더불어 유튜브 실시간 댓글로 시청자 질문을 선정하여 실시간 질의응답을 진행하였다.   2부 시민참여 Zoom 소그룹 토론은 사전 신청자 40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청소년·청년 포럼 기획단이 퍼실리테이터 역할을 맡았다. ▲플라스틱 음료용기 통일화 방안 ▲해양 쓰레기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 실천 방안 ▲에너지 전환을 위한 시민실천 방안 ▲가정용 폐의약품 분리배출 및 처리에 대한 가상의 도시 조례 제정 ▲폐의약품 분리배출 실태 개선을 위한 홍보방안을 주제로 시민들과 문제 원인을 탐색하고 해결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번 포럼은 고양시자원봉사센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언제든 시청 가능하며, 시민참여 소그룹 토론 결과 또한 센터 홈페이지에 공지될 예정이다.   고양시자원봉사센터는 고양시가 기후변화대응 조례를 제정하는 등 탄소중립 도시를 선언한 것에 발맞춰 고양시만의 선도적 기후위기 대응 자원봉사 활동을 적극 진행할 계획이다   시민일보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4978236794수도권일보 http://www.sudokwon.com/article.php?aid=1630980678495609013​ 
    # # # #
  • “플라스틱 카드 없애기, 이제 시작입니다 !” 고양시자원봉사센터의 환경을 사랑하는 아름다운 변화
      고양시자원봉사센터(센터장 허신용, 이하 센터)는 최근 지역사회를 위해 헌신적으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에게 제공되던 무료주차권과 인센티브 카드를 실물 플라스틱 카드에서 모바일 형태의 우수자원봉사자증 카드로 대체했다. 이를 위해 센터는 고양도시관리공사와 고양문화재단의 협조와 지원으로 차량번호인식 자동출차시스템을 적용하는 한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모바일 무료주차권으로도 이용이 가능토록 했다. 덕분에 지난해 2천865장 발급했던 플라스틱 무료주차권이 올해는 스마트폰 미사용자 등 모바일 접근이 어려운 111명의 봉사자에게만 제공되었다. 또한 지난해 1만2천 여 장씩 발행했던 가맹점 할인 인센티브 플라스틱 카드 역시 전량 모바일 우수자원봉사자증으로 대체하는 등 기후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양시자원봉사센터의 플라스틱 줄이기 운동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센터의 플라스틱 줄이기 정책은 매년 5백만원 이상 소요되던 카드 제작비는 물론 우편발송에 따른 인적·경제적 비용 절감 등 일석삼조의 병행 효과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시자원봉사센터 인센티브 담당자는 "기후·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양시의 플라스틱 줄이기 및 탄소중립 정책에 앞장서 25만 고양시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이름다운 실천 활동을 적극 전개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문의) 고양시자원봉사센터 031-905-1365, 031-969-8401  환경법률신문 http://www.ecolaw.co.kr/news/articleView.html?idxno=93595인천일보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0579시민일보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4460481804수도권일보 http://www.sudokwon.com/article.php?aid=1630323041494496013쿠키뉴스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108300168​ 
    # # # #
  • 고양시자원봉사센터, ‘2021년 자원봉사 이그나이트 in 고양’ 온라인 청중평가단 모집
     고양시자원봉사센터(센터장 허신용)가 ‘자원봉사 이그나이트 in 고양’자원봉사 사례발표자의 평가에 참여할 온라인 청중평가단 250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자원봉사 이그나이트 in 고양’은 자원봉사자의 목소리로 자원봉사의 감동과 열정을 이야기하고, 고양시의 다양한 자원봉사 우수사례를 함께 공유하는 자원봉사 우수사례 발표대회이다. 본 대회는 8월 21일(토) 오후 3시, 고양어울림누리 별모래극장에서 개최되며, 유튜브 생중계로 송출될 예정이다.   온라인 청중평가단은 고양시 자원봉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최종 선정된 250명의 온라인 청중평가단은 전문심사위원들과 함께 생중계되는 발표자의 발표를 보고 직접 온라인 평가에 참여할 예정이다. 청중평가단으로 참여하면 자원봉사 시간 인정(2시간)과 추첨을 통해 소정의 기프티콘을 받게 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은 7월 28일부터 8월 11일까지 고양시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게시된 온라인 참가 신청서를 작성 후 제출하면 된다.   문의) 고양시자원봉사센터 031-906-1365, 031-925-9803  쿠키뉴스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107280091인천일보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6919서울뉴스통신 http://www.sna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525974수도권일보 http://www.sudokwon.com/article.php?aid=1627472432490296004고양인터넷신문 http://gyinews.co.kr/index.do?menu_id=00000433&menu_link=/front/news/icmsNews/view.do&&articleId=ARTICLE_00021299​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next
  • last
고양시자원봉사센터

(우편번호 : 10223)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1601 고양종합운동장 내

TEL : 031-906-1365 FAX : 031-917-1366

담당자 : 고양시자원봉사센터 경영홍보팀 E-mail : gy1365@daum.net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2016 고양시자원봉사센터. all right reserved.